구슬

착륙장치계통

2017. 3. 28. 23:50






1. 착륙장치


-렌딩기어시스템

지상에서 항공기 하중 지지를하며, 항공기 정지시키는 제동장치역활을 하며, 렌딩시 항공기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장치 역활을 함.

 

-착륙장치구조

(1) 트러니언(Trunnion) : 착륙기어의 down, up의 hinge 부분

(2) 토션링크(Torsion link) : 실린더와 피스톤에 연결되어 바퀴축의 회전을 막고 과도하게 피스톤이 빠지는 걸 막음.

(3) 번지 스프링(Bungee spring) : 렌딩기어 다운 락을 보좌.

(4) 이퀄라이져 로드(Equalizer rod) : 항공기 전진시 앞바퀴의 하중부담을 줄이기 위해 뒷바퀴와 평행하게 하중 부담을 시키기 위한 장치.

(5) 시미 댐퍼(Shimmy damper) : 타이어의 진동을 위한 감쇄장치.

(6) 스너버(Snubber) :센터링 실린더의 급격한 작동방지, 택싱시 진동 감쇄.

(7) 센터링 캠(Centering cam) : 이륙 후 렌딩기어의 steering으로 인한 렌딩기어 Whell well과 부딪힌는 걸 방지.


-착륙장치 위치에 따른 계기판 색깔

렌딩기어 업 락 : 무색, 렌딩기어 오퍼레이션 : 빨간색, 렌딩기어 다운 락 : 초록색


-완충장치의 효율

탄성식 : 50%, 공기압축식 : 47%, 올레오식 : 75%


-착륙장치 (oleo strut) : 완충장치

항공기 착륙전에 inner실린더는 착륙장치의 자중과 압축공기의 영향으로 완전히 하부로 내려와 있으며 착륙접지시에 아래쪽으로부터 충격하중이 전달되어 inner실린더는 쇼크스 트럿의 상부로 움직이게 됨. 이때 작동유는 미터링핀에 의해 형성되는 오리피스를 통하 여 압축공기가 있는 상부챔버로 들어가게되면서 1차적인 충격을 흡수이후에 outer실린더 상부공기실로 들어가는 작동유에 의해서 공기실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2차적인 충격흡수를 함충격하중이 소멸되면 압축된 공기는 다시 원래대로 팽창하면서 작동유를 오리 피스를 통하여 하부챔버로 밀려내려가게하여 inner실린더를 원위치시킴.

*추가적으로 지상활주시 불규칙한 활주로 노면상태로부터 유발되는 미세진동은 상부챔버의 공기압축성에 의해서 흡수가 되며 리코일밸브는 공기의 압축과 팽창에 의해 반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


- 간단하게말하면 착륙시 실린더 하부의 오일이 오리피스와 메터링 핀 사이를 통과하여 공기를 압축시키며 유입. 공기의 압축성과 오일의 마찰을 이용 충격흡수


- 작동유 보충방법(랜딩기어 스트런)

유압유와 압축공기를 서비싱 차트에 따라 디멘션 a값을 맞추어줌

디멘션 a 값을 맞춘다는건 작동유 부족으로 인해 낮아진 실린더 높이를 맞춰 주는 것.

디멘션 a 값이 0.55inch 가 될 때 까지 이너실린더를 압축.

쇼크 스트럿을 수직 위치에 놓고 name plate에 명시된 작동유를 보급


- 작동유 보충시기

디멘션 a값을 이용하는데 실제 정비를 해봐야 알 수있음.





2. 타이어 계통


-타이어의 구조

(1) 트리드(Tread) : 홈의 모양, 마멸측정, 제동효과 증대.

(2) 브레이커(Breaker) : 트레드와 코어보디 중간으로 외부 충격완화, 열 차단.

(3) 코어 보디(Core body) : 고압공기로부터 견디고, 충격에 따른 변형률이 크고 내열성 큼.

(4) 와이어 비드 (Wire bead) : 바퀴 플랜지로부터 빠지지 않게 함.

(5) 써모 퓨즈(Thermal fuse) : 타이어의 과도한 압력이 발생시 녹아서 압력을 빼줌.


-타이어 손상 방지법

: 느린택싱, 이착륙거리 단축, 타이어의 적절한 팽창, 브레이크를 적게밟음


-타이어 압력 검사 시기

: 저온 최소 2시간, 고온 3시간


-타이어 압력체크

: 퓨즈 플러그(서모퓨즈)의 상태와 타이어 마모의 형태를 확인하여 확인. 타이어 측면의 마모가 심하면 규정치보다 저압 상태 타이어 중앙 마모가 심하면 규정치보다 고압 상태. 


-타이어 장착

: 타이어 교환시 브레이크를 풀어줌, 교환된 타이어의 원활한 장착을 위함.

: 항공기 타이어에 적정압력의 공기주입 후, 12-24시간후에 장착함. 타이어체적이 증가하여 압력강하 및 누설발생때문.


-타이어 마모체크 

: tread의 깊이가 얼마나 남았나를 재봄. dip stick 마멸지시핀을 이용하여 마모정도를 검사.

: 타이어의 이상마모 발생, 과압력시 트레드의 중앙부분이 마모, 저압력시 Side Wall의 마모가 심함.


-타이어 세척법

: 유압유가 묻었을시 비눗물로 세척.

: 그리스가 묻었을시 화학적으로 고무를 급속히 파괴시키기때문에 즉시 중성 세제와 더운물로 세척.


-타이어 55 - 19 - 33 각각 숫자의 의미.

: 정상 압력상태 하에서의 타이어의 직경 55", 타이어폭 19", Rim의 직경 33"


-타이어의 종류

(1) 바이어스타이어 : 45도 전후 사선방향코드의 플라이를 번갈아 코드각도가 서로 대각선을이루어 엇갈리도록 겹겹이 여러층으로 카커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무게가 무겁고 사이트휠이 두꺼워 충격흡수성이 약함.

(2) 레디얼타이어 : 타이어 옆면에서 볼 때 카커스를 구성하는 코드각도가 방사상방향 즉, 원주에 대해 직각으로 일정하게 배열하고 단일비이드(bead) 강선적용으로 플라이수를 줄이므로 사이드휠두께가 얇아져 고신축성으로 충격흡수성 및 수명이 향상되고 무게가 감소됨.


-타이어 보관법

: 어둡고 직사광선, 습기, 오존을 피해야하며, 습한공기는 산소와 오존의 공급을 증가시켜고무의 수명을 단축시킴. 또한 전기모터나 배터리 충전기등은 오존을 발생시키므로 타이어 보관장소에서 멀리해야함. 그리고 가능한 tire rack에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해야함. 


-항공기 타이어에 사용하는 기체

:  산소 사용시 브레이크 헤드에 의한 타이어가 폭발할 수 있음. 폭발방지를 위해 질소를 사용.




3. 제동계통


-브레이크 페달의 스펀지(Sponge)현상

계통 내 공기 유입,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시 푹신푹신한 느낌을 받는 현상. air bleeding을 함으로서 공기를 제거하고 제거시 페달이 뻣뻣해짐.

*공기 유입의 원인은 레저버 유량이 적거나 랑니 내에서 새고 있음.



-브레이크 정비작업시 주의사항

누설 점검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함. 파이프 피팅을 조일 떄는 압력이 없는 상태에서 수행. Air bleeding시 압력식은 레저버 상부에 장착된 밸브를 통해서 하고, 중력식은 페달을 밟아 압력이 걸렸을 때 공기를 빼냄.


-브레이크 드럼의 표면 균열 허용값

1"이내, 끝 부분으로 확대하지 않을 것.


-안티스키드 (Anti Skid System)

항공기가 착륙직후 빠른속도에서 브레이크를 잡았을 때 바퀴에 제동이걸려서 바퀴가 회전하지않고 지면과 마찰을 일으키며 미끄러지는데 이때 타이어는 열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타이어가 팽창하거나 부분적으로 닳아서 타이어가 파열될 수 있음. 것을 방지 및, 제동효과를 높임


-안티스키드 계통

휠속도감지기, 제어박스, 제어밸브 세가지로 구성


-안티스키드 종류

(1) 노말스키드 : 랜딩시 브레이크를 풀었다가 잡았다가 하는 기본스키드.

(2)페일세이프프로텍션 :  페일세이프프로텍션은 시스템작동이 고장나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페일세이프구조.

(3)터치다운프로텍션 : 랜딩기어가 터치다운하기전에 브레이크를 밟아도 스키드의 효율을 위해서 브레이크가 작동이 안됨.

(4)락크휠스키드프로텍션 : 여러개의 휠중의 하나의 휠브레이크가 세게 잡혀있다면 휠이 lock을 걸어, 트레드가 스키드현상에 의해 한쪽면만 닳게 됨. 한쪽면만 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휠에 lock을 풀어주는 장치.


-안티스키스 브레이크 와 오토 브레이크의 차이점

(1) Anti Skid Brake : Hyd' brake Sye'에 의해서 브레이크에 작용하는 유압을 제한하여 휠이 스키딩되는 것을 방지.

(2) Auto Brake : 렌딩시 조종사의 업무부담을 줄이기 위해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ABS등을 작동시킴.







'구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Y SUMP, WET SUMP  (3) 2017.04.03
공기조화계통 (ACM, VCM, 여압 조절 장치)  (1) 2017.04.03
통신항법계통 (FDR, CVR)  (0) 2017.03.28
산소 계통  (5) 2017.03.28
정비작업범위, 감항증명  (3) 2017.03.28